영유아 정서 발달 및 지원
1. 발달이란?
발달이란 연령이 증가하면서 신체적·정신적 측면에서 양적 성장과 질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유전적인 요인(성장: 양적 / 성숙: 내적)과 환경적인 요인(학습)의 영향을 받습니다.
2. 발달 원리
발달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 일정한 순서와 방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머리에서 발로, 안쪽에서 바깥으로 발달이 이루어집니다.
-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나 속도는 일정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만 2세에 언어가 폭발적으로 발달합니다.
- 개인차가 있습니다. 성격, 기질,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 각 영역은 상호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언어 발달, 신체 발달, 인지 발달, 사회성 발달 등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 결정적 시기(민감기)가 있습니다.
- 발달은 누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결손은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3. 정서란?
정서란 사람의 마음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감정을 의미합니다. 슬픔, 기쁨, 분노, 공포, 우울함, 수치심, 자존감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영아는 미분화된 정서 상태로 시작하며, 생후 3주가 지나면서 정서가 분화되기 시작합니다. 불쾌한 정서가 더 빨리 분화됩니다.
12개월이 되면 희·노·애·락이 완성됩니다.
4. 기질
기질은 한 인간의 행동 특성을 특징짓는 정서적 표현과 반응 양식으로 성격 발달의 기초가 됩니다. 아이들이 특성에 맞는 양육 환경에서 자라면 기질의 단점을 완화하거나 보완할 수 있습니다.
기질 특성 구분
- 활동 수준
- 규칙성
- 적응력
- 반응 강도
- 기분 감정 상태
- 주의 산만
- 주의 집중
(1) 순한 기질의 아이 (40%)
- 일과가 규칙적인 편입니다.
- 새로운 환경과 낯선 사람에게 쉽게 적응합니다.
- 부정적인 일을 표현하지 않고 담아두어 마음의 병을 갖게 될 수 있습니다.
- 조용히 알아서 일을 하며 성인의 요구에 순응하는 편입니다.
교사의 역할
- 지나친 양보나 희생이 없도록 적절히 개입합니다.
- 아이의 욕구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존중합니다.
- 감정과 욕구를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배려합니다.
- 성인에게 지나치게 순종적인 아이가 되지 않도록 지도합니다.
(2)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 (15%)
- 부모가 가장 곤란해하는 유형으로, 사회성 발달을 돕는 교육이 필요합니다.
- 일과가 불규칙합니다.
- 낯선 환경에 강렬하고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자기주장이 강하며 욕구 관철이 어렵습니다.
- 집중력은 떨어지지만 지각 능력이 뛰어납니다.
- 새로운 도전에 대한 의지가 강합니다.
교사의 역할
- 일관성 있게 대합니다.
-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편안한 감정 상태를 유지하게 돕습니다.
- 위험하지 않다면 행동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습니다.
- 옆에서 지켜보며 스스로 욕구를 충족시키게 합니다.
- 시도와 과정을 칭찬하여 인정받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킵니다.
- “~하지 마”보다 “~하자”로 긍정적인 훈육을 합니다.
(3) 더딘 기질의 아이 (10%)
- 반응이 느리고 자극에 천천히 반응합니다.
- 감정을 겉으로 잘 드러내지 않습니다.
- 친해지는 데와 적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교사의 역할
- 충분한 시간을 주고 기다려 줍니다.
- 재촉하거나 좌절 경험이 반복되면 자신감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주의합니다.
5. 개월별 정서 발달
3개월: 소리 내어 웃기 시작합니다.
4~5개월: 주 양육자와 애착 형성, 큰 소리에 공포 반응, 안아주면 편안함을 느낍니다.
5개월: 감정이 세분화되며 낯가림이 시작됩니다.
6개월: 새로운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증가합니다.
7~8개월: 낯선 사람에 대한 불안, 애착 대상에게 울음 등으로 반응을 유도합니다.
9~12개월: 주 양육자에게 집착하며 사회적 놀이를 합니다.
10~12개월: 다른 아이가 울면 함께 웁니다.
13~24개월: 분노, 부끄러움, 공포 등이 완성되며 질투, 애정 표현이 나타납니다.
자아 개념이 형성되고 독립 의지를 강하게 표현합니다.
2세 말에는 다양한 정서를 표현하고 반항이나 부정적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
정서는 일차 정서(행복, 분노, 공포, 슬픔, 기쁨)와 이차 정서(수치, 부러움, 죄책감, 자부심)로 나뉩니다.
6. 영아기 교사의 역할
- 기본적 신뢰감 형성을 돕습니다.
- 자극을 제공합니다.
- 자율성 발달을 돕습니다.
-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7. 유아기의 정서 발달
만 3세: 반항기, 긴장 증가, 공포 반응, 질투 심화, 자기주장 강함
만 4세: 감정 표현 통제 가능, 성인을 의식, 자신감은 있으나 인내심 부족, 이유 없는 공포 반응
만 5세: 감정 표현이 원활하고 상상력 발달, 부정적 정서 회피 가능, 새로운 시도에 흥미
8. 유아기 교사의 역할
- 양육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 필요한 경우 훈육합니다.
- 자아 개념 발달을 돕습니다.
- 주도성 발달을 지원합니다.
-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돌봄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8강 영유아 몸놀이 (0) | 2020.11.30 |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7강 Best 책놀이 (0) | 2020.11.30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5강 영유아 사회성 발달과 지원 (0) | 2020.11.30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4강 영유아 인지 발달과 지원 (0) | 2020.11.29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2강 영유아 언어 발달과 지원 (0) | 2020.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