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와 함께 자라는 영유아 언어와 발달
영유아 언어와 발달은 단순히 말을 배우는 것을 넘어서 아이의 정서, 인지, 사회성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성장 과정입니다. 특히 생후 0세부터 5세까지는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이 시기에 아이가 어떤 환경에서 자극을 받고 어떤 반응을 경험하느냐에 따라 언어 능력에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울음소리, 몸짓, 표정 등은 말 이전의 중요한 언어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말로 표현하지 않아도 “왜 울었을까?”, “지금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를 민감하게 읽어내는 것이 부모와 교사의 역할입니다.
정서적인 안정이 언어 발달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아이가 충분히 사랑받고 존중받고 있다고 느낄 때 말도 훨씬 풍부하게 자라납니다. 매일 반복되는 엄마의 따뜻한 말투, 눈을 맞추고 웃어주는 표정 하나가 아이에게는 세상의 언어입니다. 아이가 가짜 울음을 시작하더라도 무조건 반응하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기회를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영유아 언어와 발달을 위해서는 아이의 마음을 먼저 이해하려는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언어 발달의 원리, 그리고 아이마다 다른 속도
영유아 언어와 발달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아이마다 속도도 다르고 표현 방식도 다릅니다. 어떤 아이는 일찍부터 문장을 이야기하지만, 어떤 아이는 3살이 넘도록 말수가 적을 수 있습니다. 이런 차이는 성별, 지능, 출생 순위, 부모의 언어 사용, 사회적 환경 등 여러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이를 조급하게 몰아가지 않는 것입니다.
언어 발달 이론에 따르면 행동주의는 반복 훈련과 자극을 강조하며, 생득주의는 선천적인 언어 능력을, 상호작용주의는 이 둘의 균형을 강조합니다. 실제로는 엄마의 반복적인 말 걸기, 함께 책을 읽으며 대화하는 시간, 아이가 말을 걸었을 때 반응해주는 태도가 가장 큰 영향을 줍니다. 예를 들어, "이거 뭐야?" 하고 물었을 때 “사과야. 빨간 사과네. 우리 먹어볼까?” 이렇게 자연스럽게 확장해주는 것이 언어 자극입니다.
엄마들이 꼭 기억해야 할 점은, 말을 많이 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아이의 말에 어떻게 반응하느냐입니다. 아이가 “강아지 봤어”라고 하면 “어, 강아지 봤구나! 꼬리 흔들고 있었니?”처럼 대화를 넓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은 교사보다 엄마와의 일상 속 대화에서 가장 많은 언어 자극을 받습니다.
생활 속 언어 환경과 교육과정의 연계
영유아 언어와 발달을 체계적으로 돕기 위해 국가 수준에서는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을 제공합니다.
5세 누리과정도 같은 영역으로 연계되며, 이 시기 아이는 이야기 만들기, 말놀이, 역할놀이 등을 통해 언어 능력을 자연스럽게 확장해갑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가정에서의 언어 환경입니다.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TV에 노출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러운 대화의 기회가 줄고 있습니다.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아이와 마주 앉아 눈을 바라보며 이야기 나누는 시간이 언어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책을 읽어주는 것도 좋지만, 책 내용을 가지고 “너라면 어떻게 했을까?”, “이 주인공은 어떤 기분이었을까?”처럼 질문을 던져보면 사고력과 표현력이 함께 자랍니다.
아이들은 혼자 배우지 않습니다. 엄마의 말투, 표정, 반응 하나하나가 언어 발달의 재료입니다. 정서적으로 안정된 아이일수록 말을 빨리 배우고, 더 정확하게 사용합니다. 아이가 말이 느리다고 걱정하지 마세요. 중요한 것은 말의 빠르기가 아니라 말의 ‘질’이며, 아이가 표현할 수 있는 환경과 여유입니다.
영유아 언어와 발달은 일상의 모든 순간 속에서 이루어집니다. 아이에게 풍부한 언어 환경을 제공하고, 무엇보다 그 마음을 따뜻하게 감싸주는 것이 최고의 언어 교육입니다. 오늘 하루, 아이와 눈을 맞추며 웃고 이야기 나누는 그 시간이 아이의 언어 발달을 가장 크게 성장시킵니다.
'돌봄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8강 영유아 몸놀이 (0) | 2020.11.30 |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7강 Best 책놀이 (0) | 2020.11.30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5강 영유아 사회성 발달과 지원 (0) | 2020.11.30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4강 영유아 인지 발달과 지원 (0) | 2020.11.29 |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1강 영유아 정서 발달, 교사의 역할 (0) | 202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