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돌봄나눔

핀덴아이, 돌봄교사 수업_6강 놀이의 의미와 이해

by YuntingJ 2025. 8. 21.

돌봄교사 강의필기 6강 놀이의 의미와이해

놀이의 의미와 이해, 왜 다시 돌아봐야 할까요?

우리는 어릴 적 하루 종일 뛰어놀며 지루할 틈 없이 시간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고 나서는 놀이를 단순히 여가나 취미 정도로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놀이의 의미와 이해는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놀이에는 인간의 본능, 발달, 학습이 녹아 있으며, 어린이에게는 성장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고 성인에게도 삶의 활력을 주는 본질적인 활동입니다.

특히 현대 교육 현장에서는 놀이를 학습의 도구로만 바라보는 시각이 강해지면서 놀이 본연의 자유와 자율성이 약화되는 문제도 생겨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놀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교육과 삶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바라보고 활용해야 할까요? 지금부터 놀이의 의미와 이해에 대해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놀이의 역사적 관점과 교육적 의미

놀이는 오래전부터 인간의 본능적 활동으로 여겨졌습니다. 호모 루덴스(Homo Ludens), 즉 놀이하는 인간이라는 개념은 놀이가 단순한 오락을 넘어 인간 존재의 본질적인 특성임을 보여줍니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놀이는 낭만주의적 관점에서 상상력의 가치를 강조받았고, 진보적 관점에서는 놀이의 학습적 효과가 주목받았습니다. 또한 개인주의적 시각에서는 놀이의 자발성과 주체성을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특히 어린이에게 놀이는 발달과 학습의 중요한 수단이 됩니다. Susan Issac은 “놀이가 어린이의 작업”이라고 표현하며 놀이를 통해 아이가 세상을 배우고 성장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어린이들은 자유로운 놀이를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얻고, 사회성·창의성·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게 됩니다. 따라서 놀이의 의미와 이해는 단순히 발달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놀이 본연의 자발성과 즐거움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2. 현대 교육 속 놀이의 현실과 생명성 회복

현대 교육 현장에서 놀이는 종종 교사의 계획이나 학습 목표에 맞추어 구조화됩니다. 자유선택놀이, 교육적 놀이 같은 개념들이 등장하면서 놀이가 학습의 수단으로 도구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놀이와 학습의 연결은 중요한 가치이지만, 놀이 본연의 자유로움이 사라지면 아이들은 놀이를 더 이상 즐겁게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놀이의 생명성을 회복하려는 움직임이 커지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놀이는 자율성과 즉흥성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들이 스스로 참여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집니다. 놀이의 의미와 이해를 되새기며 교사는 단순히 놀이를 설계하는 사람이 아니라 아이들과 함께 놀이의 한 구성원이 되어야 합니다. 이렇게 할 때 놀이의 다면적 의미가 살아나고, 아이들은 진정한 몰입과 즐거움을 경험하게 됩니다.


3. 놀이의 새로운 접근과 실천 방향

오늘날 우리는 놀이를 단순히 “학습의 도구”로 보던 시각에서 벗어나 더 넓은 의미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놀이의 의미와 이해를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에서는 첫째, 놀이와 비놀이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다양한 경험 속에서 놀이의 가치를 찾습니다. 둘째, 놀이의 본질인 자유로움, 변덕스러움, 즉흥성을 존중합니다. 셋째, 교육 내용을 위해 놀이를 억지로 만드는 대신 놀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학습이 일어나도록 돕습니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역할놀이나 상상놀이는 단순히 시간 보내기가 아니라 사회성 발달, 언어 능력 향상, 문제 해결력 강화로 이어집니다. 교사는 아이들의 흥미와 욕구를 존중하며 환경만 조성하고, 아이들이 스스로 놀이를 선택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러한 실천이 쌓일 때 놀이의 생명력이 되살아나고, 교육적 가치 역시 극대화됩니다.


놀이의 의미와 이해를 다시 생각하며

놀이의 의미와 이해는 단순히 어린이의 발달 이론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놀이를 통해 인간은 즐거움뿐만 아니라 창의성, 사회성, 자율성을 키워갑니다. 현대 교육 현장에서 놀이가 도구화되는 현실을 넘어, 놀이 본연의 자유와 생명성을 되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우리는 놀이를 아이들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을 이끌어내는 살아있는 경험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놀이의 의미와 이해를 올바로 파악하고 실천한다면, 아이들은 배우면서도 즐겁고, 성장하면서도 행복한 놀이 문화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